728x90
반응형

HTML 보고서 만들기 (Mac - Homebrew)

  • Graph 차트로 만든 보고서를 csv로 저장한 후에 HTML로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.

그래프 보고서 생성

  • 결과 파일 csv 저장하기 위해 경로 설정
    • Wirte result to file/Read from file
  • 설정 시 뜨는 오류는 무시해도 됨

HTML 보고서 생성

  • 보고서 설정
    • 상단의 Tool - Generate HTML 선택
      • csv: 그래프 차트 저장으로 생성된 CSV
      • properties: /bin/jmeter/jmeter.properties 선택
    • homebrew
      • properties: /opt/homebrew/Cellar/jmeter/버전/libexec/bin/jmeter.properties 선택
    • 결과 html 저장 경로
      • 빈 디렉토리어야 함. 따라서 새로운 폴더 생성

728x90
반응형

'데브옵스 devOps > Te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Meter] JMeter 설치  (0) 2024.12.16
[JMeter] JMeter 란?  (0) 2024.12.12
728x90
반응형

Jmeter란?

  • Apache에서 자바로 만든 웹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 오픈 소스입니다.
  • 위의 그림과 같은 GUI를 지원합니다.

테스트 용어

  • Thread Group : 테스트에 사용될 스레드 개수, 스레드 1개당 사용자 1명
  • Sampler : 사용자의 액션 (예: 로그인, 게시물 작성, 게시물 조회 등)
  • Listener : 응답을 받아 리포팅, 검증, 그래프 등 다양한 처리
  • Configuration : Sampler 또는 Listener가 사용할 설정 값 (쿠키, JDBC 커넥션 등)
  • Assertion : 응답 확인 방법 (응답 코드, 본문 내용 비교 등)

예시

  • Thread 개수가 1000 개이고, Ramp-up Period가 60, Loop Count가 10이면
    • 1000명의 유저가 60초 동안 10번 반복해서 요청 보낸다는 의미
  • Sampler - 사용자의 액션
    • 프로토콜, IP, 포트, HTTP, PATH 등을 지정 가능
    • Parameter와 Body 도 넘길 수 있음

테스트 수행

  • 아래처럼 생각하면 좋다
    • Thread Group 추가 - 테스트 설정
    • Sampler 추가 - 요청 관련 설정
    • Listener 추가 - 테스트 결과 확인

Add Thread Group

  • 테스트 세팅
    • Thread, Ramp up, Loop Count

Add Sampler - HTTP Request

  • 요청 세팅
    • 프로토콜, url, port, body 등 세팅

Add Listener - Summary Report

  • 상단 초록색 실행 아이콘 눌렀을 때, 그. 테스트 결과 확인
    • samplers: 표본 수
    • Average: 응답 시간 (ms)
    • Min: 응답 시간 (ms)
    • Max: 응답 시간 (ms)
    • Error: 400 / 500 번대 응답 코드 비율
    • Throughput: TPS(Transaction Per Second) 초당 처리량
728x90
반응형

'데브옵스 devOps > Te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Meter] JMeter 설치  (0) 2024.12.16
[JMeter] HTML 보고서 생성  (0) 2024.12.13
728x90
반응형

rsync

  • remote sync의 약자
  • unix 및 linux 시스템에서 파일을 효율적으로 전송 및 동기화 하기 위한 유틸리티
  • 로컬/원격지 모두 동기화 가능
  • 변경된 사항만 빠르게 동기화가 가능
  • scp보다 빠르고 효율적

옵션 정리

-v: verbosity를 높이는 방법으로, 과정을 더 상세히 출력
-z: compress를 주는 옵션으로, 파일을 압축해서 복사. 용량이 큰 파일에 대해 사용
-h: 인간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복사 결과 출력
-a: Archive 모드로, symlink, 권한등의 속성을 그대로 복사. 항상 넣어 주는게 좋음
-l: symlink 형태로 복사
-p: 파일과 디렉토리들의 권한을 유지
-g: 그룹 속성을 유지
-o: 소유자 속성을 유지
-r: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사용하는 옵션. -a 옵션을 사용할 경우 -a 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아도 됨

로컬에서 로컬로 파일 복사하기

  • 모든 속성 유지, 전송 과정 로그 상세화, 복사 결과 출력
    • 파일 용량이 적은 파일일 경우 -z 옵션 생략
rsync -avh <file_path> <target_path>
  • 특정 파일 제외
rsync -avh --exclude <제외할_파일_path> <file_path> <target_path>

# txt 확장자 파일만 제외할 때
rsync -avh --exclude '*.txt' <file_path> <target_path>

# 복수개의 확장자에 대해 제외할 때
rsync -avh --exclude={'*.txt', '*.iso'} <file_path> <target_path>

서버에 파일 보내기

  • scp 이용
scp -rp <file_path> <server_user>@<server_host>:<target_directory>
  • rsync 이용
    • 전송하는 파일 크기가 너무 클 때 대신해서 사용
rsync --avz <file_path> <server_user>@<server_host>:<target_directory>
728x90
반응형

'데브옵스 devOps >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STANDALONE] Standalone 프로그램이란?  (1) 2024.12.26
[배포전략] 무중단 배포란?  (1) 2024.10.05

+ Recent posts